Arm Linux Kernel Hacks

rousalome.egloos.com

포토로그 Kernel Crash


통계 위젯 (화이트)

493
557
422263


[라즈베리파이] 시스템 콜(시스템 호출)은 왜 필요하나? 11. 시스템 콜

시스템 콜은 유저 모드에서 커널 모드로 진입하는 동작입니다. 다른 관점으로 시스템 콜은 유저 공간과 커널 공간 사이 가상 계층이자 인터페이스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이 계층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습니다.
1. 시스템 안정성과 보안을 지킬 수 있습니다. 유저모드에서 어플리케이션이 커널 공간에 아무런 제약없이 접근한다고 가정합시다. 실수로 어플리케이션이 커널 코드 영역 메모리를 오염을 시키면 시스템은 오동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유저 어플리케이션에서 추상화된 하드웨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합니다. 유저 모드에서 구동 중안 어플리케이션 입장에서 하나의 파일 시스템 위에서 구동 중인 것으로 착각하게 합니다.

3. 시스템 콜 구현으로 유저 어플리케이션의 호환성과 이식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리눅스 시스템은 시스템 콜 인터페이스는 POSIX(Portable Operating System Interface) 이란 유닉스 표준 규약에 맞게 구현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로 유저 어플리케이션 코드를 라즈베리파이, 안드로이드 등 리눅스 계열의 시스템과 유닉스 운영체제에서도 구동할 수 있습니다.

4. 유저 공간에서 실행하는 어플리케이션에서 커널 공간으로 진입하는 인터페이스를 두고 커널과 독립적으로 구동합니다. 유저 어플리케이션 입장에서 파일 시스템과 프로세스 생성과 같은 내부 동작에 신경 쓸 필요가 없습니다.

리눅스 디바이스 드라이버와 가상 파일 시스템 함수도 시스템 콜을 통해 시스템 콜 핸들러를 통해 관련 코드를 실행합니다.  

또한 시스템 콜은 ARM 아키텍처와 연관이 깊은 동작입니다. ARM 프로세서는 시스템 콜을 익셉션의 한 종류인 소프트웨어 인터럽트로 실행하기 때문입니다. ARM 프로세스 관점으로 시스템 콜을 어떻게 처리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습니다.

#Reference 시스템 콜


Reference(워크큐)
워크큐(Workqueue) Overview


핑백

덧글

댓글 입력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