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m Linux Kernel Hacks

rousalome.egloos.com

포토로그 Kernel Crash


통계 위젯 (화이트)

493
557
422263


[리눅스] 라즈베리 파이(라즈베리파이)란? 2. 라즈베리 파이 설정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리눅스 개발용 보드이자 소형 컴퓨터입니다. 설치 과정이 간단하고, 가격 대비 성능도 좋아 다양한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구현하는 데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교육용으로도 많이 쓰이며 실전 개발에서도 다양한 데모용 디바이스로 자주 활용되고 있습니다. 라즈베리 파이의 장점을 몇 가지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막강한 커뮤니티

라즈베리 파이의 커뮤니티와 리소스는 막강합니다. 전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므로 인터넷이나 유튜브에서 관련 자료를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 파이를 활용한 소스코드나 설정 방법도 인터넷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저는 라즈베리 파이를 2018년 2월에 학교에 교수로 계신 선배를 통해 알게 됐습니다. 그분은 저에게 다음과 같이 조언을 해주셨습니다. “리눅스 교육용 보드는 라즈베리 파이가 대세다.” 

그래서 저는 바로 라즈베리 파이를 구입해 설치해보기로 마음먹었습니다. 그런데 예전에 며칠 동안 고생해서 리눅스를 설치했던 기억이 떠올랐습니다. 사실 임베디드 리눅스의 가장 큰 걸림돌은 설치 과정이라서 라즈베리 파이를 잘 설치할 수 있을까 걱정했습니다. 하지만 다른 누구의 도움도 받지 않고 인터넷 자료를 참고해 라즈베리 파이를 혼자 설치하고 실행할 수 있었습니다. 이는 라즈베리 파이 커뮤니티의 도움 덕분입니다.  

저렴한 가격

라즈베리 파이를 교육용 보드로 보는 분도 있습니다. 그런데 사실 라즈베리 파이는 소형 컴퓨터로 봐야 합니다. 본체가 신용카드 크기인 소형 컴퓨터가 이 가격이면 매우 저렴하다 볼 수 있습니다.

또한 라즈베리 파이를 구입하면 다른 기기가 별도로 필요하지 않습니다. 마이크로 SD 카드와 휴대폰 충전기와 비슷한 파워 케이블만 있으면 라즈베리 파이를 구동할 수 있습니다. 물론 HDMI 케이블과 HDMI 케이블을 연결해 쓸 수 있는 모니터가 있어야 합니다만 이는 가정이나 학교에서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설치

라즈베리 파이 커뮤니티에서는 라즈베리 파이를 구동할 수 있는 다양한 이미지를 배포합니다. 이 중에서 '라즈비안'이라는 리눅스 이미지를 설치하기만 하면 리눅스 프로그래밍에 필요한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바로 쓸 수 있습니다.  

리눅스 배포판마다 다르긴 하지만 리눅스는 처음 설치하고 시스템을 설정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하지만 라즈베리 파이 커뮤니티에서 배포하는 라즈비안 이미지는 설치만 하면 이 과정을 모두 건너뛸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 SD카드를 포맷하고 라즈비안 이미지를 마이크로 SD 카드에 굽기만 하면 라즈비안을 라즈베리 파이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최신 리눅스 커널을 지원

라즈비안은 최신 버전의 리눅스 커널을 지원합니다. 2018년에는 라즈비안 리눅스의 커널 버전이 4.14였는데 2019년에는 4.19로 업그레이드됐습니다. 2019년 상반기에 출시한 안드로이드 기반 기기는 대부분 4.14 버전에 머무르고 있습니다. 이처럼 라즈비안은 상용 리눅스 제품보다 더 업그레이드된 리눅스 커널에서 작동합니다.
  

 라즈베리 파이에서 구동할 수 있게 리눅스 프로그램과 유틸리티를 패키징한 것을 라즈비안이라고 부릅니다. 리눅스 서버에서 많이 쓰는 우분투와 비슷한 배포판입니다.

* 유튜브 강의 동영상도 있으니 같이 들으시면 더 많은 걸 배울 수 있습니다. 





라즈베리 파이 설정 

라즈베리 파이 설치하기
라즈베리 파이 기본 설정하기 
라즈비안 리눅스 커널 빌드

"혹시 궁금한 점이 있으면 댓글로 질문 남겨주세요. 아는 한 성실히 답변 올려드리겠습니다!" 

Thanks,
Austin Kim(austindh.kim@gmail.com)


# Reference: For more information on 'Linux Kernel';

디버깅을 통해 배우는 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 1

디버깅을 통해 배우는 리눅스 커널의 구조와 원리. 2


 



핑백

덧글

댓글 입력 영역